목록CS 스터디/발표 (14)
Welcome! Everything is fine.
인덱스를 사용 중일 때 데이터를 삭제하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해 설명해보세요. 인덱스를 구현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해보세요. 인덱스란?인덱스란 데이터베이스에서 튜플의 검색 속도를 높이기 위해 속성 값과 튜플이 저장된 주소를 저장하는 것을 말한다. 해당 테이블의 컬럼을 색인화하여 검색 시 해당 테이블의 레코드를 full scan하는 것이 아니라 인덱스 파일을 검색하여 검색 속도를 빠르게 한다. 항상 최신의 정렬상태 유지하고, 데이터베이스 크기의 약 10% 정도의 저장 공간이 필요하다. 장점 : 인덱스 테이블에 데이터가 정렬되어 있어서 검색 속도가 빠르다. 단점 : 인덱스 테이블을 저장하기 위한 추가 공간이 필요하다,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데이터를 추가/수정/삭제하는 경우에는 속도가 느리다. 따라..
데이터베이스의 락에 대해 설명해보세요. 락(lock)이란?동시성 제어를 위해 락(lock)을 사용한다! 락(lock) : 트랜잭션이 처리되는 순서를 보장하기 위한 방법. 데이터 베이스의 무결성을 유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트랜잭션이 동시에 수행될 때, 일관성을 해치지 않도록 데이터의 접근을 제어하는 DBMS의 기능이다. 운영체제에서의 데이터 동기화를 위해 임계 영역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는 상호배제 기법과 유사하다.락(lock)의 종류낙관적 잠금 : 데이터 갱신 시 경합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보는 것. 동시 업데이트가 거의 없는 경우 사용한다.비관적 잠금 : 동일한 데이터를 동시에 수정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는 것. 동시 업데이트가 빈번한 경우, 외부 시스템과 연동한 경우 사용한다.공유 락베타 락 공유 락..
UDP의 특징과 UDP에서의 오류검출 방법에 대해 설명해보세요.UDP란UDP(User Datagram Protocol,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는 OSI 7계층 중 4계층 전송 계층에 해당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이다. 프로토콜 중 구조가 가장 간단하다. UDP는 송신부와 수신부 간 연결을 지원하지 않고 데이터그램 형태의 통신을 지원한다. 따라서 TCP와 달리 3-way 핸드셰이킹 같은 과정 없이 패킷을 바로 송수신하게 된다. → 신뢰성은 낮지만 속도는 빠름.가상 회선 방식(Viryual Circuit) vs 데이터그램 방식(Datagram)가상 회선 방식 : 모든 패킷의 경로를 일정하게 유지, 연결형 서비스 지원,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나누어 전송, 패킷의 도착 순서가 일정, 목적지에서 패킷을 재조립할..
HTTP Keep Alive와 TCP Keep Alive의 차이에 대해 설명해보세요.HTTPHTTP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클라이언트-서버 구조의 요청/응답 프로토콜이다.특징비연결성 :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해 서버가 응답한 후 연결을 끊음 → 이를 보완하기 위해 HTTP Keep Alive 사용무상태성 : 서버에서 클라이언트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음 → 이를 보완하기 위해 쿠키/세션 사용Keep Alive?A keepalive (KA) is a message sent by one device to another to check that the link between the two is operating, or to prevent the link from being broken.위키백과에 따르..
OS가 메모리 관리를 해야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하고, 메모리 관리 전략에 대해 설명해주세요.OS가 메모리 관리를 해야하는 이유각각의 프로세스는 독립된 메모리 공간을 갖는다. 따라서 각 프로세스는 다른 프로세스의 메모리 공간에 접근할 수 없다. 오로지 '운영체제'만이 운영체제 메모리 영역과 사용자 메모리 영역의 접근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OS 만이 메모리를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관리가 필요하다.가상메모리를 이용한 Swapping메모리 압축페이징 & 세그멘테이션고정 길이 할당 / 가변 길이 할당등의 방식으로 OS가 메모리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논리 메모리와 물리 메모리다수의 프로세스를 실행하려면 한정된 메모리 공간에 많은 프로세스를 로드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서 메모리 공간을 더 효율적..
첫 번째 CS 스터디 발표! 이번주는 운영체제에 대해 공부해보았다. 잘 이해가 되지 않거나 생소한 주제들을 공부해보고, 자신이 공부한 내용들을 발표식으로 설명해보기로 하였다. 내용은 책과 여러 블로그, 유튜브 강의 등을 참고하였다.메모리의 힙 영역과 스택 영역의 차이에 대해 설명하고, 힙 영역을 너무 크게 잡으면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설명해보세요.프로세스 메모리 구조프로세스는 운영체제로부터 독립된 데이터 영역을 할당받으며, 다른 프로세스의 메모리 영역에 접근할 수 없다. 프로세스의 메모리 영역 구조는 코드, 데이터, 힙, 스택으로 구성된다.코드 영역 : 텍스트 영역이라고도 하며, 실행할 코드가 기계어로 컴파일되어 저장되는 영역. CPU가 해당 코드 영역에 저장된 명령어를 하나씩 가져가서 처리하게 된다.데..